
common (13)
영화 '백설공주'가 개봉을 앞두고 15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엘케피탄 극장에서 시사회를 진행했다. 시사회는 주연 배우들의 레드카펫 인터뷰가 생략되고 언론 접촉을 최소화한 채 진행되어 주목을 받았다. 이러한 방식은 최근 영화 '백설공주'와 관련된 여러 논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스페인 세고비아에서 열린 유럽 프리미어 시사회도 축소 진행됐고, 영국 런던 시사회는 아예 취소되는 등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사회에 참석한 일부 언론에서는 극찬 일색의 리뷰가 쏟아졌다. 미국 연예매체 버라이어티의 캣시 스테판은 주인공 레이첼 지글러를 '빛나는 초신성'으로 칭찬하며, "새로운 뮤지컬 넘버와 매력적인 동물들이 완성하는 화려한 볼거리가 눈과 귀를 사로잡는다"고 평가했다. 또한 온라인 비평가 크리스토퍼 레이츠는 "'백설공주'는 단지 최고의 실사 영화일 뿐만 아니라, 1937년에 제작된 애니메이션 원작에서 느꼈던 마법 같은 감정을 그대로 전달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의 일부 요소에 대해 실망감을 표했다. 필름하운드의 폴 클라인은 "'백설공주'는 매우 탄탄한 작품이다. 지글러는 주인공으로서 훌륭한 활약을 펼쳤고, 갤 가돗은 극을 한층 더 재미있게 만들었다. 그러나 CG로 제작된 난쟁이들은 실망스러웠다"고 언급했다.
'백설공주'는 제작 단계부터 논란에 휘말렸다. 원작의 백설공주는 독일 출신이며, 이름 자체가 '흰 눈(snow white)'으로 하얀 피부를 상징하는데, 이에 맞지 않게 어두운 피부를 가진 라틴계 배우 레이첼 지글러가 캐스팅되어 논란을 일으켰다. 또한 레이첼 지글러는 2022년 인터뷰에서 "원작의 백설공주는 시대에 뒤떨어졌다"고 발언하며 비판을 받았고, "왕자는 백설공주를 스토킹하는 남자"라고도 언급해 논란을 더욱 증폭시켰다.
영화 '백설공주'는 이러한 논란 속에서도 개봉을 앞두고 있으며, 향후 관객들의 반응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사진] 월트디즈니컴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