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지난 40년간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키가 커지면서 '롱다리' 체형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남성의 평균 비만도가 지속적으로 늘어난 반면 35세 이상 여성의 비만도는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30일 '사이즈코리아 성과발표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의류, 생활용품 등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 국민의 인체치수·형상 데이터를 수집·보급하는 세계유일의 국가주도 데이터 사업이다. 1979년 시행 이후 이번이 8회째다.
8차 조사는 2020년 5월부터 약 20개월 동안 20~69세 한국인 6839명을 대상으로, 직접측정 137개, 3차원측정 293개 등 총 430개 항목을 측정했다.
조사 결과 한국인의 평균 키는 남성 172.5cm, 여성 159.6cm를 기록했다. 고도 성장기를 지난 2000년대 이후로도 평균 키가 지속적으로 늘면서 1979년 제1차 조사에 비해 남성은 6.4cm, 여성은 5.3cm 커졌다.
체형도 변화했다.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나타내는 다리길이 비율(샅높이/키)이 모든 연령대에서 2003년 제5차 조사 대비 증가해, 키에서 하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이른바 '롱다리' 체형으로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머리수직길이 대비 키의 비율을 나타내는 두신지수(키/머리길이)는 1990년대 이후 7.2~7.3을 유지하고 있으며 머리너비지수(머리너비/머리두께)는 모든 시대·연령·성별에서 동양인의 단두형 비율인 0.84 ~ 0.89 사이를 기록했다. 키와 몸무게 증가, 체형의 서구화에도 일부 인체비율은 한국인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성보다 남성 비만인구 증가세가 뚜렷하다. 남성의 평균 체질량지수는 40여 년간 꾸준히 증가해 전체 남성의 절반가량(47.0%)이 비만인 반면, 여성은 1979년 22.0에서 2021년 22.6으로 22.0 ~ 23.1 사이에서 등락을 유지하고 있다.
여성은 5년전 제7차 조사 결과와 비교해 3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도가 감소했으며, 50~60대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복부비만의 지표가 되는 허리둘레도 직전 조사결과 대비 남자는 전 연령대에서 증가했으며, 여자는 2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감소했다.
한편 국표원은 이와 같은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육군본부, 한국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 단국대학교 웨어러블 제조데이터 플랫폼센터, 대한인간공학회, 한국의류학회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한국인 체형 변화와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산업계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신규 데이터 수요 발굴과 데이터 활용 확산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다.
박진규 산업부 제1차관은 "한국인 인체치수조사는 세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국가 주도의 데이터 사업으로 40년간 축적한 데이터에 격동의 시대를 거친 한국인의 인체 변천사가 담겨있다"며 "우리 기업의 제품·서비스 경쟁력 강화에 기여해 온 인체정보 데이터가 디지털 전환시대의 미래지향적 신산업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인체치수조사 사업을 더욱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사진] 온라인커뮤니티